liquibase5 Spring Boot 3 + JPA를 활용한 Liquibase 실습하기 (4, final) 📖 실습 내용 1. Spring Boot 3 + Spring Data JPA 환경에서 Liquibase 환경을 설정한다. 2. Entity 파일을 생성한 뒤, 로컬 DB와 스키마 차이에 대한 ChangeLog 파일을 생성한다. (diff) 3. Liquibase를 통해 ChangeLog 파일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고 로그를 확인한다. 4. profile 설정을 통해 개발 환경별로 적용한다. 📖 실습 4. profile 설정을 통해 개발 환경별로 적용해보기 이전 실습을 통해 changeLog 파일을 적용하고 DB에 관련 로그를 남긴 것을 확인했다. 이번 실습에서는 Profile(dev, prod) 별로 다르게 설정을 적용하고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해 볼 것이다. `dev 환경`에서는 엔티티 >.. 2023. 6. 6. Spring Boot 3 + JPA를 활용한 Liquibase 실습하기 (3) 📖 실습 내용 1. Spring Boot 3 + Spring Data JPA 환경에서 Liquibase 환경을 설정한다. 2. Entity 파일을 생성한 뒤, 로컬 DB와 스키마 차이에 대한 ChangeLog 파일을 생성한다. (diff) 3. Liquibase를 통해 ChangeLog 파일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고 로그를 확인한다. 4. profile 설정을 통해 개발 환경별로 적용한다. 📖 실습 3. ChangeLog 파일을 적용하고 로그 확인하기 이전 실습들을 통해 프로젝트에 Liquibase 설정과 로컬 DB와 엔티티 간의 스키마 차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ChangeLog 파일을 생성했다. 이번 실습에서는 ChangeLog 파일을 적용하여 DB 스키마를 변경하고 관련 로그를 확인해 .. 2023. 5. 29. Spring Boot 3 + JPA를 활용한 Liquibase 실습하기 (2) 📖 실습 내용 1. Spring Boot 3 + Spring Data JPA 환경에서 Liquibase 환경을 설정한다. 2. Entity 파일을 생성한 뒤, 로컬 DB와 스키마 차이에 대한 ChangeLog 파일을 생성한다. (diff) 3. Liquibase를 통해 ChangeLog 파일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고 로그를 확인한다. 4. profile 설정을 통해 개발 환경별로 적용한다. 📖 실습 2. 로컬 DB와 Entity 간의 스키마 차이 ChangeLog 만들기 이전 실습에서는 프로젝트에 기본적인 Liquibase를 완료했다. 이번 실습에서는 프로젝트에 Spring Data JPA 기반의 간단한 엔티티를 생성하고, DB와 스키마 차이에 대한 ChangeLog 파일을 만들 것이다. 1. .. 2023. 5. 20. Spring Boot 3 + JPA를 활용한 Liquibase 실습하기 (1) 📖 실습 내용 1. Spring Boot 3 + Spring Data JPA 환경에서 Liquibase 환경을 설정한다. 2. Entity 파일을 생성한 뒤, 로컬 DB와 스키마 차이에 대한 ChangeLog 파일을 생성한다. (diff) 3. Liquibase를 통해 ChangeLog 파일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고 로그를 확인한다. 4. profile 설정을 통해 개발 환경별로 적용한다. 📖 실습 1. Liquibase 환경 설정하기 기본 실습 환경은 다음과 같다. 1. Spring Boot 3.0.6 2. Maven 3.8.4 3. Java 17 4. MariaDB 10.6 1. Liquibase Dependency 추가 Liquibase를 사용하기 위해서 liquibase-core 의존성을.. 2023. 5. 14. Spring DB Migration Tool Flyway, Liquibase 특징, 유사점, 차이점 📖 DB Migration Tool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이란, 한 운영 환경에서 다른 운영환경으로 옮기는 작업이다. 그렇다면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은? 특정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다른 데이터베이스 환경으로 옮기는 작업이다.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그 과정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작업을 통틀어서 마이그레이션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개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변경했으나, 운영 환경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변경되지 않았을 경우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한다. 개발 환경에서 요구 사항에 따라 서비스 로직과 스키마를 수정하고, 운영 환경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수기로 옮길 때 일부 누락 등의 실수로 애를 먹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준다. .. 2023. 5. 13. 이전 1 다음